QUICK
MENU

온라인문의 제품소개 카다로그 오시는길
메뉴 본문

터널폐수처리시설

HOME - 환경사업 - 터널폐수처리시설

Tunnel Wastewater Treatment

▣ 터널폐수의 발생원인

  • ㆍ터널굴착 시 굴착공정 중 발생하는 굴착폐수, 터널측벽에서 발생하는 측벽수(지하수), BP장발생 폐수
  • ㆍ오염물질 항목 : PH, SS, BOD, TOC, n-H(광유류), T-N, T-P, 생태독성 등

터널폐수 발생특징

  • PH9.0 이상의 강알칼리성 폐수 발생
    : 콘크리트 타설 및 굴착과정(쇼크리트)에서 발생하는 강알칼리성 페수
  • 현장여건에 따른 유입수의 부하 변동 발생
    : 굴착기간, 지하수위, 양생기간 등에 따라 유입수의 유량과 농도가 상이

대처방안

  • PH 중화
    :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위하여 PH 중화 → H2SO4(고농도 / 저농도), CO2
  • 수면적부하율 확보 필수
    : 유입수의 고유량 고농도에 대비하여 수면적 부하율 확보 필수

▣ 터널폐수 발생량 산정 및 종별 사업장규모

[ 사업장의 규모별 구분 ]

종류 배출규모
제1종사업장 1일 폐수배출량 2,000㎥ 이상
제2종사업장 1일 폐수배출량 700㎥ 이상~2,000㎥ 미만
제3종사업장 1일 폐수배출량 200㎥ 이상~700㎥ 미만
제4종사업장 1일 폐수배출량 50㎥ 이상~200㎥ 미만
제5종사업장 1종~4종 사업장에 제외한 배출시설

▣ 터널폐수 배출 허용기준

[ 1일 배출량 2,000㎥이상 ]

구분 BOD(mg/L) TOC(mg/L) SS(mg/L) pH
청정지역 30 이하 25 이하 30 이하 5.8~8.6
가지역 60 이하 40 이하 60 이하
나지역 80 이하 50 이하 80 이하
특례지역 30 이하 25 이하 30 이하

[ 1일 배출량 2,000㎥미만 ]

구분 BOD(mg/L) TOC(mg/L) SS(mg/L) pH
청정지역 40 이하 30 이하 40 이하 5.8~8.6
가지역 80 이하 50 이하 80 이하
나지역 120 이하 75 이하 120 이하
특례지역 30 이하 25 이하 30 이하

▣ 공법개요

  • ㆍ굴착폐수, 터널 측벽에서 발생하는 측벽수(지하수), 장비세척수는 강알칼리성 (약 PH 10)으로 배출허용 기준을 초과
    ㆍ터널굴착 시 발생 폐수를 배출 허용기준 이내로 처리한 후 방류해야하며 이를 처리하는 장치가 터널폐수처리 장치
  • ㆍ터널 굴착 시 발생하는 굴착폐수, SS가 함유된 지하수, 장비 세척수를 처리하는 물리·화학적 처리공법

▣ 공법의 특장점

  • 침전과정을 2단계로 나누어 입자들을 이중으로 침전·분리 함으로써 체류시간을 극대화 하여 처리효율 향상
  • 약품반응 시간을 최대화 시켜 폐수의 응집과 침강 속도를 조절, 안정적 처리, 약품 잔류 최소화하여 생태독성 우려 없음

[ 2회연속 침전조 ]

1. 베플판과 딥플레이트를 활용

  • 베플 설치로 유입수의 분산 효과
  • 제1딥플레이트와 제2딥플레이트를 활용한 2차 침전 및 분리 유입수의 방향 전환

2. 감속기와 회전축을 활용

  • 침전조 상부에 설치되는 감속기와 감속기 하부 회전축이 연결되어 중앙 하부를 관통
  • 침전조 내부 중앙 스크래퍼부에 연결 / 연속 침전 유

3. 웨어수로 및 슬러지 인발관 이용

  • 침전조 내 외축으로 돌출 된 웨어 수로를 통한 방류
  • 침전조 하부에 연결된 침전 슬러지를 이동
  • 슬러지 인발관을 통한 유지관리의 용이성 확보

▣ 기술 인증

  • 수질환경관리대행지정서

  • 혁신제품지정인증서

  • SOC기술마켓 등록확인서

  • 도공기술마켓 등록증

▣ 처리공정도

▣ 처리공정도

▣ 현장적용 사례 : 신안산선 복선전철